• HOME
  • 학과소개
  • 인문사회계

인문사회계

국어국문학과



교육목적 교육과정 교수소개 교과목소개


교육목적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국어국문학 및 한국 언어문화 분야에 학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추고 이 분야의 이론적 지식을 창조적으로 체계화하고 발전시키는 지식인을 양성함으로써 지역사회와 문화 산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고 나아가 국어국문학 및 한국 언어문화를 세계적 차원으로 고양하는 데 기여한다.

TOP



교육과정

1)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는 창의적 국문인 양성

  • ① 21세기 정보 기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국어국문학 지식을 연구하고 교육한다.
  • ② 국제적 감각과 경쟁력을 갖춘 국문인을 양성한다.
  • ③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춘 자기 주도적 국문인을 배출한다.

2)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도덕적 국문인 양성

  • ①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둔 경천애인의 정신을 함양한다.
  • ② 국어국문학의 소양과 미덕을 바탕으로 건전하고 품위 있는 우리 문화를 창출하게 한다.

3)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봉사하는 국문인 양성

  • ①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하는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한다.
  • ② 전통성과 주체성을 갖춘 민족 언어문화의 선도자를 양성한다.

TOP



교수소개

성명 직위 학위 전공 연구분야
문병열 교수 문학박사(서울대학교) 국어학 문법론
김태인 교수 문학박사(서울대학교) 국어학 의미론
신태수 교수 문학박사(쓰촨대학교, 한남대학교) 고전문학 고전산문
장수익 교수 문학박사(서울대학교) 현대문학 현대소설
강정희 명예교수 문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국어학 국어사
김균태 명예교수 문학박사(서울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 구비문학
김종구 명예교수 문학박사(서강대학교) 현대문학 현대소설
민영대 명예교수 문학박사(경남대학교) 고전문학 고전소설
박영환 명예교수 문학박사(고려대학교) 국어학 의미론
신익호 명예교수 문학박사(전북대학교) 현대문학 현대시

TOP



교과목소개

국어국문학 전공

KL601 국어문법론연구(Studies in Korean Grammar)3학점

전통 문법을 밑바탕으로 하여 구조주의의 문법, 변형생성 이론에 대하여 연구한다. 그 연구 방법의 적용, 언어관, 이론, 차이점을 이해하도록 하고, 각 문법 모형들의 발전 과정을 파악하도록 하며, 화용론, 의미론과의 연관성을 잘 파악하여 이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통문법 개관, 구조주의 문법과의 차이점, 발생, 도입, 국어에의 적용, 생성문법 개관, 구조주의 문법과의 차이점, 발생, 도입, 적용, 생성문법과 의미론과의 연관성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강의 운영 계획, 운영 요령, 학생들 발표 토론에 대한 비판은 교수가 수행하고, 학생들은 교수의 강의 운영 계획에 따라 조사·연구하여 발표·토론을 한다.

KL602 국어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3학점

모든 역사가 그렇지만, 특히 언어는 문자로 기록되어 보존되므로 언어사의 연구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료에 의존하게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문헌의 성격과 거기에 사용된 문자 자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다. 이 과목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라서 국어사의 각 시대별 문헌을 중심으로 국어의 음운, 문자, 문법 체계의 변천을 연구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시내 구분에 따라 훈민정음 이전 시대의 언어와 그 이후의 언어를 반영하는 각 시대의 문자 체계를 문헌 중심으로 다룬다. 강의 운영방법은 각 시기별로 문헌을 강독하며 토의, 토론 방식으로 수강자 자신이 발견한 점을 발표한다. 또한 각 시기의 언어 특성에 대한 주제를 선정해서 발표·토론한다.

KL604 국어의미론연구(Studies in Korean Semantics)3학점

의미론은 문법이론의 한 분야로서 언어의 표현과 실재 세계에서의 그에 대한 대응물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목표다. 여기에서 언어의 표현이라는 것은 단어, 구, 문장 등을 말하며, 대응물이라 함은 이 형태들로 표현된 어떤 것들이 실세계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대상을 뜻한다. 이 강좌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론의 분야와 그 이론들의 내용을 고찰하기로 한다. 언어표현과 의미적 대응물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차이는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이론을 발전시킨다. 지시적, 종합적, 진리 조건적, 심리주의, 행동주의, 화용론적 의미론 등의 내용이 이 강좌의 주요 대상이 된다. 강의 운영방법은 각각의 의미론을 소개하고, 수강자들은 자신의 관심에 맞는 의미이론을 가지고 국어에 적용해 본다.

KL605 생태언어학연구(Ecolinguistics)3학점

생태언어학의 연구대상은 자연 생태계의 연구 대상과 마찬가지로 매우 다양하다. 생태언어학의 주요 관심은 언어의 소멸, 언어정책, 사회집단에서 억압당하는 집단의 언어 표현, 언어습득상의 얻는 것과 잃는 것 등 다양하다. 이 과목은 인간 환경 생태계의 파괴로 인한 인간성상실과 함께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 오염, 소멸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KL606 중세국어연구(Studies in Middle Korean)3학점

순수 국어학인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분야를 기초로 사적인 국어의 발달, 즉 고대국어와 중세국어, 근대국어의 개관을 이해하고 그 중에서도 중세인 15세기부터 16세기 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 의미론에 관한 이론을 적용시켜 봄으로써 당시 국어에 대한 제반 상황을 파악하고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 사용, 사어 등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어학의 시대구분, 중세 국어의 개념, 중세국어의 한계, 고대국어와 중세국어,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중세국어의 자료, 중세국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의미론 등의 체계, 연구 결과의 자료, 훈민정음을 비롯한 구체적인 자료 분석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교수는 국어학의 시대 구분, 중세국어의 위상 및 자료, 학생들의 발표에 대한 비판과 보충에 대해 강의하고, 학생들은 교수의 강의 계획에 따라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체계 등을 연구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

KL607 현대국어학연습(Seminar in Korean Linguistics)3학점

지금까지 배워서 익힌 현대 국어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 국어학의 제 분야에서 가장 잘 쓰여지고, 모범적이고, 주목을 받을 만한 논문을 택하여 적용이론, 논문의 기술 방법, 각주, 참고 문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새로운 관점에서 보다 훌륭한 논문 작성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어 음성학, 국어 음운론, 국어 형태론, 국어 통사론, 국어 의미론, 화용론, 국어 방언학, 비교 언어학, 사회 국어학 등 국어학 제분야의 논문을 적용 이론을 중심으로 골라 내용 요약 및 비판, 동향 등을 익힌다. 교수는 분야별 논문 선택, 운영 계획, 학생 발표에 대한 비판과 보충설명을 하고, 학생들은 교수의 강의 계획에 따라 지정된 논문을 조사 연구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발표하고 토론한다.

KL608 한국고대가요(향가·여요)연구 (Studies of Korean Classical poetry-Hyangga, Ryeyeo)3학점

한국 고전시가 고대에 속하는 향가와 여요를 중심으로 살피며, 형태 및 내용을 분석 검토하고, 각 작품과 갈래별 특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강좌를 통해 각 장르에 해당하는 시대의 의식과 장르의 발생을 연관지어 고찰하고, 아울러 각 갈래별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대표 작품을 통해 분석하여 한국 고대 가요의 장르적 특성을 살핀다. 아울러 시대 의식이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그리고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문학 사상은 무엇인가를 검토하는 것이 주된 강의의 내용이다. 본 강의는 학생들의 연구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의 자유스러운 토론과 시청각 교재를 충분히 활용하여 현장감을 살리고, 특별한 경우 작품과 관련된 지역을 답사한다. 총체적인 운영을 통해 미진한 부분은 담당교수가 방향을 제시한다.

KL609 한국고전소설연구(Studies in Korean Classical Novels)3학점

설화를 비롯해 고대 소설과 연관이 있는 유형의 특성 분석을 통해 고대 소설의 형성과 발전을 연구하고, 내용 유형별로 주제·갈등 양상·인물 성격, 전개 방식 등을 살펴 각 유형의 특성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각 유형이 있어온 바 배경과 통시적인 맥락을 살펴 고전 소설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데에도 그 목표를 둔다. 주요 내용은 각 유형별 작품의 주제·갈등 양상, 인물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존의 유형 분류 방식이 정확한 것이었나 하는 것도 본 강좌의 강의 내용이다. 따라서 고전 소설의 시원에서부터 신소설 이전까지의 고전소설을 시대 구분하여 연구하고 시대별로 어떠한 모습으로 고전소설이 변화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강의의 주요 내용이다. 본 강좌는 대학원 개설 과목임을 감안하여 대학원생들의 연구 발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첫 시간에 당담 교수가 강의의 목적·성격·연구 및 발표 내용과 방향을 자세히 설명하고 시대 구분을 고려한 유형별 특성과 대표 작품을 선정, 대학원생들의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미진한 곳은 담당 교수가 보충 설명하고 계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한다.

KL610 한국고전문학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3학점

한국 고전문학의 통시적 이해와 연구에 필요한 여러 가지 방법론과 그 연구사를 검토하고, 앞으로 규명해야 할 문제점들을 분석·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고전문학사의 시대 구분과 함께 각 시대에 해당하는 작품을 검토하고 기존의 시대 구분을 검토하여 고전문학에 맞는 새로운 시대 구분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목표로 둔다. 고전문학을 통시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주제로 시대별 갈래와 각 유형별 작품의 시대적인 형식·내용의 변화와 변모를 밝히는 것이 본 강좌의 주요 내용이다. 아울러 고전문학의 시대 구분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고전문학의 형식·내용 특성에 따른 새로운 시대 구분을 연구하는 것도 강의의 내용으로 삼는다. 본 강좌는 수강생들의 연구 발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담당교수가 강의의 목적·성격·연구 및 발표 내용과 방향을자세히 설명하고 고전문학의 통시적 연구를 고려한 갈래·유형별 작품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학생들의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미진한 곳은 담당교수가 보충 설명하고 계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한다.

KL612 구비문학연구 (Studies in Korean Oral Literature)3학점

구비문학의 여러 하위 갈래들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고 각 양식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분석하여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각 갈래별 개념과 범주를 파악하고, 특히 설화와 민요 그리고 무가 등을 중심으로 각 갈래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선정하여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구비문학의 성격을 이해한다. 수강생들의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되, 기초적인 작업 및 작품 분석의 안목을 기르기 위하여 교수가 설화문학 전반에 관해 강의한다. 이런 이중적인 작업을 중심으로 수강생들은 개별 작품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KL614 판소리연구 (Studies in Pansori)3학점

문학으로서의 판소리가 지니는 장르적 특성과 서사문학적 위상을 연구하고, 판소리는 우리의 고유한 전통예술이지만 서구적 근원에서 나온 문학론으로도 논의하고 평가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이 문학작품을 해석 평가하는 우리의 일반적인 기준에 비추어 서사상의 기술체계 및 규범이 보편타당한 것임을 확인한다. 먼저, 판소리에 대한 양식적 원리 및 전반적인 특성을 인식하고, 판소리 다섯 마당으로 불리는 판소리-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분석을 시도해 본다. 이를 전제로 판소리의 양식적 원리와 서사 구조적 특징을 살핀다. 그리고 그것이 지닌 예술적·문화사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밝혀낸다. 엄밀한 검증과 분석을 통해 판소리계 소설이 지닌 예술적 특질을 이론화하고 평가한다. 판소리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을 학생들의 연구물을 중심으로 발표하면서 수업을 진행하되, 문학과 음악이라는 복합적인 예술 양상에 대해서는 교수가 강의한다.

KL615 한국한문소설연구 (Studies in Sino-Korean Novel)3학점

한국 한문소설의 대상 영역은 문헌상에 나타난 한문소설들이며, 수업의 일차적인 목표는 고전소설사에서 있어 한문소설의 위상을 정립하고, 한문소설이 갖는 서술방식 및 서사문법을 밝히려는 데 있다. 또한 한문소설을 대표적 작가와 함께 고찰하고 그 형식과 내용의 특질을 분석하여 한문소설사를 연구한다. 고전소설사에 있어 한문으로 된 소설들을 선별하여 한문소설의 계보를 정리하고, 한문소설사에서 가치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 국문소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문소설의 형식·내용적 특성을 밝힌다. 일반적인 소설 연구 방법을 전제로 한 단계 더 나아가 문체적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전제로 한문소설의 서술방식을 집중 연구한다. 이 강좌는 교수 강의와 수강생들의 연구 발표와 토론 수업이 비슷한 비중으로 진행된다. 교수는 한문소설의 역사성과 소설 연구사, 소설의 미학성 그 평가를 중심으로 강의하고, 수강생들은 선별된 작품을 창의성 있게 연구 발표한다.

KL616 현대시문학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ry)3학점

시의 역할은 복잡한 현대 사업사회에서 야기되는 분열과 소외감을 극복하여 인간성을 회복하고 더불어 질서와 사랑을 공유하는 것이다. 시문학은 시가 인생이라는 문제를 얼마나 감동적이며 진실하게 언어로 빚어내었으며, 그것은 얼마나 아름답고 적절하게 표현되었나를 해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과목은 시는 어떤 요소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은 서로 어떻게 관련되고 작용하는가. 좋은 시와 나쁜 시의 변별성은 무엇인가 등을 살필 것이다. 아울러 시 이론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시를 감상·비평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 자신이 직접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강의 내용은 시의 본질론, 운율론, 이미지론, 비유와 상징의 개념과 원리, 신화와 원형, 역설과 아이러니의 기능과 본질, 시적 화자 등의 내용을 학생 발표와 종합 토의식으로 전개한다.

KL617 현대소설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3학점

현대소설 연구에서 논의할 영역은 1910년 이후의 한국소설로, 우리 현대소설의 형성 과정과 구조적 특수성 해명을 강의의 목표로 한다. 스토리와 사건, 작중 인물과 텍스트에서의 인물 구성의 방법, 초점화와 담론이 주된 강의 내용이 될 것이다. 한국 서사문학의 시학적 전통성과 사조적 흐름 파악을 위한 연구과제와 아울러 작품과 작가에 대한 토의 수업이 다원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KL618 문학비평연구 (Studies in Literature Criticism)3학점

문예비평의 본성 및 그 의의를 문학적 시각에서 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학, 역사학, 심리학, 정치학 등의 문학외적 비평의 입장과 언어학, 기호학 등에 의지하는 문학내적 비평이 논의되며, 서구에서 발전한 방법론을 토대로 우리 비평문학의 기초를 탐색한다. 오늘의 문학이론과 비평의 다양한 입장을 연구과제와 발표로 익히고, 우리 문학을 대상으로, 우리 문학의 시학성을 실제적으로 탐구하는 연구와 토론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것이다.

KL619 현대문학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3학점

문학사란 기술 관점은 문학을 통해 역사에 접근하느냐, 혹은 역사를 통해 문학에 접근하느냐로 분류할 수 있다. 이것은 문학과 역사가 긴밀한 연관성을 전제하는 것인데, 즉 문학과 역사를 동시에 포용해야 한다는 것으로서 작가의 상상적 창조력과 역사적 집적물로서의 작품을 동시에 기술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학사 기술은 단지 왕권 중심의 연대기적 자료 나열이 아니라 공시성과 통시성을 바탕으로 부분과 전체와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문학성과 문학사적 업적 중심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강의 내용은 현대문학사의 기술방법과 시점문제, 신문학의 장르 및 특징, 프로 문학의 발생 및 경향, 농민소설과 역사소설, 해방공간의 문학, 전후문학, 순수문학과 참여문학, 산업화 시대의 문학 양상 등을 포괄적으로 살필 것이다.

KL620 현대문학세미나 (Seminar in Modern Korean Literature)3학점

이 과목은 수강생으로 하여금 현대문학의 제반 문제점을 스스로 탐구하여 발표케 함으로써 현대문학 전공자로서의 정체성 자각과 학문적 문제 제기의 방법을 연마시킨다. 문학 작품은 단지 작가가 의도하는 텍스트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자율적 구조와 독자의 해석 행위를 통해 그 의미가 완성된다. 따라서 문학 작품의 독특한 소통 구조와 자체 구조를 인식시키고, 세심한 읽기를 통해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독서 행위와 적극적인 작품 감상을 유도하고자 한다. 강의 내용은 개화기 이후 9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작가론이나 작품론을 대상으로 역사 실증주의 방법론에서부터 최근의 해체주의, 페미니즘, 기호학 등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세미나 발표와 토론식으로 전개한다.

KL621 매체문학연구 (Study of Literature in Media)3학점

매체 문학연구는 매체 상에서 창작되는 문학 작품들에 대한 분석적 작업과 창작 능력을 기르는 과목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매체에 대한 기능과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이 선행된 후에 매체상의 창작물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창작도 해 본다. 강의 주요 내용은 매체의 기능과 특성을 이해, 매체상의 다양한 양식의 창작물 분석, 그리고 학습자의 창작활동 등이다. 강의 방법은 교재에 의한 강의와 함께 창작 실습이 병행된다.

KL622 현대문학이론연구 (Studies in Modern Literature Theory)3학점

문학과 문학연구 영역의 올바른 이해를 기초로 하여 문학연구의 적절한 방법과 정당한 실천 방향의 모색이 이 강좌의 목표이다. 문학이론은 다양한 시각과 새로운 연구방법의 개발로, 정당한 문학의 한 영역으로 급성장해 왔다. 오늘의 문학 논의는 이론과 방법의 이해 없이 수행되기 어렵다. 따라서 여러 이론과 방법이 강의의 중심 내용이 될 것이다. 강의 운영은 다양한 이론과 방법을 익히기 위해 개별 연구, 토론식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KL623 고급작문과정연구 (Study of Advanced Writing Reading Process)3학점

고급 작문 과정 연구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글쓰기 활동이 활발해진 현실에서 글쓰기 지도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글쓰기 지도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재를 비롯한 실습지도 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을 위한 다양한 과목 내용의 구성이 요구된다. 주요 강의 내용은 다양한 양식의 특징 이해, 문체와 수사, 글쓰기 지도의 실제 등으로 구성된다. 강의 방법은 강의와 실습이 병행된다.

KL624 독서과정연구 (Study of Reading Process)3학점

독서 과정 연구는 효과적인 독서 지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교재와 실습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교재 및 실습 자료 개발이 본 과목의 학습 내용이 된다. 주요 강의 내용은 다양한 독서 방법에 대한 특징과 효과에 대해서 이해하고 실제로 지도하는 요령을 실습하는 것으로 한다. 강의 방법은 교재 중심으로 강의하고 교재를 개발하며 지도 방법을 실습한다.



KL701 국어음운론특강(Topics in Korean Phonology)3학점

음운론의 이론을 습득하여 실제 국어의 음운현상에 응용하며, 음운론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의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론 계발을 모색한다. 생성음운론의 이론으로서 형태소 기본형의 기저형을 설정하는 방법과 이 기저형(기저음운 표시)에 여러 모양의 음운 규칙을 적용하여 추출된 음운현상의 설명 방법, 통사론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음운 규칙의 적용상 순서 등에 대한 고찰이 이 과목의 주요 내용이다. 강의 운영방법은 국어 음운 현상 가운데서 연구자가 특히 관심이 있는 분야를 선정한 후 강의자와 연구자가 서로 토론하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강의 연구자의 연구 진행에 도움자로서 학문적 길잡이 역할을 한다.

KL702 국어문법론특강(Topics in Korean Grammar)3학점

순수 국어 문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국어학 분야인 문법론에 대한 구조주의적, 생성 문법적 제반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습득하여, 실제 국어의 형태구조에 대한 통합법, 분석법을 세밀히 연구한 논문을 택하여 검토한다. 이 강의는 전통 국어 문법론에서의 형태론, 통사론, 구조문법에서의 형태론, 통사론 변형생성 문법에서의 형태론, 통사론의 이론 적용 방법, 문법론에 관한 논문을 선택하여 분석·비평, 실제 국어 문법론에 관한 논문 작성 등을 다룬다. 교수는 강의 운영 계획을 세우고, 세부적 논문을 선택하고, 학생들 발표, 토론 및 논문 작성에 대한 비판과 보충 설명을 하고, 학생들은 교수의 강의 운영 계획에 따라 조사, 연구하여 발표 및 토론을 하고 실제로 논문 작성을 한다.

KL703 국어화용론특강(Studies in Korean Pragmatics)3학점

화용론은 문법이론의 한 분야로서 언어의 표현과 실재 세계에서의 그에 대한 대응물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목표다. 여기에서 언어의 표현이라는 것은 단어, 구, 문장 등을 말하며, 대응물이라 함은 이 형태들로 표현된 어떤 것들이 실 세계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대상을 뜻한다. 이 강좌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론의 분야와 그 화용 이론들의 내용을 고찰하기로 한다. 언어표현과 의미적 대응물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차이는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이론을 발전시킨다. 지시적, 종합적, 진리 조건적, 심리주의, 행동주의, 화용론적 의미론 등의 내용이 이 강좌의 주요 대상이 된다. 강의 운영방법은 각각의 의미론을 소개하고, 수강자들은 자신의 관심에 맞는 의미이론을 가지고 국어에 적용해 본다.

KL704 국어어휘론특강(Topics in Korean Lexicology)3학점

국어 형태론의 최대 단위이며, 통사론의 최소단위인 국어 어휘의 생성 과정, 발전 양상, 소멸 과정과 어휘론과 형태론, 어휘론과 통사론, 어휘론과 의미론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어휘론 분야의 논문을 택하여 분석, 비판, 적용시킴으로써 국어 어휘론 분야 전공 학생이 학위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어 어휘 형성의 원칙, 어휘 형태론, 어휘와 통사론, 어휘와 의미론, 유의어, 반의어, 음성 상징어, 속담, 금기어, 의미 변화, 동의 중복어 등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론 적용, 내용 분석, 비판, 논문 작성에 대해 연구한다. 교수는 강의 운영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이론 설명을 하고, 세부적 논문을 택하고, 학생 발표·토론에 대한 비판과 보충 설명을 하고 학생은 교수의 운영 계획에 따라 조사, 연구하여 발표·토론한다.

KL706 매체언어연구(Study of language in media)3학점

매체 언어 연구는 매체 상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해 국어학적으로 접근하는 과목이다. 사회가 날로 다양해져 감에 따라 매체에 사용되는 언어 역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과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매체와 거기에 사용되는 언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매체 상에서 언어 수행 능력을 향상하는데 강의의 목적이 있다. 강의 주요 내용은 다양한 매체에 대한 기능들을 이해하고 매체에 따라서 사용되는 언어의 현상들을 분석하여 매체상에서 자신의 언어 수행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실습한다. 강의 운영 방법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다.

KL707 국어학사특강(Topics in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3학점

문헌의 기록에 남아 있는 삼국시대의 언어를 비롯하여 고려어, 조선조어, 현대어, 즉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에 대한 음운, 형태, 통사, 어휘, 의미 등에 대하여 학자들이 연구한 논문이나 저서를 모아 분야별로 사적인 연구 상황을 밝히고, 과거 연구자들의 이론을 보다 발전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구려어 연구, 백제어 연구, 신라어 연구, 통일신라와 언어, 고려어, 중세국어, 근세국어 연구, 현대국어 연구, 과거의 연구 동향, 현재의 연구 동향, 외국인의 연구 동향, 국어학사의 재확립 등을 가급적 세세히 다룬다. 교수는 강의 운영 계획을 작성하고,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학생 발표·토론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하고, 학생은 자료와 기존 연구를 검토 연구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

KL708 국어사특강(Topics in the History of Korean)3학점

고대, 중세, 근대, 현대에 걸쳐 국어가 변천되어 온 모습을 훈민정음 표기법의 변천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고대국어의 표기법, 한자 차용법, 중세국어의 문자체계, 표기법의 변천, 문자체계 변천, 음운, 형태, 통사, 의미의 변천을 근대, 현대 국어까지 다룬다. 강의 운영방법은 국어사를 기술한 교재를 수집하여 이들 업적을 통독한 후, 연구자가 문제점을 발견하고 연구하도록 한다.

KL709 중세국어특수연구(Special Studies in Middle Korean)3학점

15~16세기, 즉 훈민정음 창제 무렵부터 두시언해 초간본이 출간될 무렵까지의 조선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그 동안 많이 발간된 악장체 저서, 불경언해, 사서삼경 언해 등의 자료를 분석하고 지금까지의 이에 대한 음운, 형태, 통사, 의미면의 특수한 문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세국어 자료와 연구에 나타난 표기 원칙과 표기의 변천, 악장체와 산문체, 언해류 등의 제 특징, 국어의 음운과 국어 한자음의 정리 원칙, 당시 국어 음운, 형태, 통사, 어휘, 의미의 문제점과 변천 등에 대하여 특수한 문제점을 다룬다. 교수는 강의 운영 계획을 세우고,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학생 발표와 토론에 대하여 보충하고, 학생은 교수의 강의 운영계획에 따라 주제별 문제점을 찾아 연구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

KL710 현대국어특수연구(Special Studies in present Korean)3학점

현대 국어학을 연구하는 이론의 변화가 다양하고 복잡하다. 현대국어의 음운, 형태, 구문, 의미면에 적용된 전통 국어학, 구조 국어학, 변형생성 국어학, 화용론 등을 연구하여 특수한 문제를 발견하고, 이론의 발전과 변화의 흐름을 국어에 적용시킬 수 있는지의 타당성과 문제점 등에 대하여 세밀히 연구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통 국어학 연구의 문제점, 구조주의 국어학 연구의 타당성과 문제점, 초기 변형생성 이론과 국어학, 표준이론 적용의 문제점, 지배결속 이론, 장벽이론의 적용의 타당성 여부, SPE 이전, 당시, 이후 이론 적용의 타당성 여부 등 특수한 문제를 다룬다. 교수는 강의 운영 계획을 세우고, 이론 적용의 장·단점을 지적하고 학생 발표, 토론에 대해 보충 설명하고, 학생은 적용 이론을 이해하고 열심히 문제점과 타당성을 찾아 발표 및 토론한다.

KL712 국어학자료연구(Analyzing the Materials of Korean Linguistics)3학점

국어학 연구의 미비점을 점검하고, 주어진 자료에 대하여 국어 연구 분야 전반에 걸쳐서 고찰해보는 것이 이 강좌의 목표다. 주요 내용으로는 국어학 연구에서 발표된 업적들을 주제별로 분류한 다음, 이들 업적(문헌, 논문)들을 면밀히 검토한다. 강의 운영방법은 먼저 각 주제별로 업적 조사를 한 후, 자료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를 연구하도록 한다.

KL713 국어학논문연구 (Paper Seminar in Korean Linguistics)3학점

자신이 오랫동안 공부를 하면서 최대의 목표로 생각하고 닦아온 내용을 마무리하는 것이 학위논문이다. 학위논문을 잘 작성하는 데에는 전공분야의 지식이 많아야 함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학문의 분야에 맞는 논문을 작성했을 때 더욱 홀륭한 학위논문이 된다. 이와 같이 훌륭한 논문 작성을 위해 내용과 형식을 잘 나타내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분야의 제 논문 습득, 이해, 비판, 주제의 독창성, 정확성, 객관성, 검증성, 평이성, 학술용어 선택, 맞춤법, 띄어쓰기, 자료수집, 논문 작성 계획, 논문 형식, 각주, 참고문헌, 논문 문장 등을 실습을 통하여 익혀 응용하도록 한다. 교수는 강의 운영 계획을 세우고, 자료 수집부터 논문작성에 이르기까지 실습하도록 지도하고, 학생은 교수의 계획에 따라 논문 작성의 실습을 하면서 발표·토론한다.

KL714 가사문학연구 (Studies in Kasa)3학점

조선시대의 가사를 분석, 고찰하고 문헌 및 형태 특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는 가사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고 유형별 형식·내용 특성을 분석, 연구하여 가사의 갈래 성격 규정과 갈래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목표로 삼는다. 아울러 가사의 창작 기법과 작품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문학성을 비판적 안목으로 분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 조선시대에 발생한 가사의 연원을 밝힘과 동시에 가사의 갈래 규정과 갈래적 특성을 주요 강의 내용으로 한다. 가사의 갈래 개념 규정을 통해 가사가 다양한 형식과 유형을 가질 수 있었던 특수성을 논의하고, 작품 상황과 각 대표 작품의 서술 의도와 서술지각을 중심으로 가사의 문학성을 밝혀나가는 것을 강의의 내용으로 삼는다. 본 강좌는 수강생들의 연구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강의의 목적·성격·연구 및 발표 내용과 방향을 자세히 설명하고 유형별 내용 특성과 대표 작품에 대한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수업을 진행토록 한다. 담당교수는 미진한 곳을 보충 설명하고 통시적 연구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도한다.

KL715 시조문학연구 (Studies in Si-Jo)3학점

본 강좌는 고려시대에서부터 조선시대에 나타났던 시조의 작자와 작품에 대해 고찰하고 그 발달 과정 및 내용 특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대한 양과 수의 작품과 작자를 모두 연구 대상으로 하지는 못하지만 주제별로 유형을 분류하여 대표 작품과 작자를 선정하여 시조의 특성과 작자 계층을 검토함으로써 시조문학 전모를 이해하고 새로운 분석 방법으로 시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시조의 주제 유형별 내용 특성과 작자층의 연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아울러 시조의 통시적 변이와 형식 변화에 따른 문학 정신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도 강의의 수요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시조를 시대별, 주제 유형별로 분류하고 대표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문학성과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 본 강좌의 중심 내용이 된다. 본 강좌는 대학원 개설 과목임을 감안하여 대학원생들의 연구 발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담당교수는 강의의 목적과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함과 동시에 연구 및 발표 내용과 방향을 자세히 설명하고, 시대와 주제를 고려한 유형별 특성과 대표 작품을 선정, 대학원생들이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도록 수업을 진행한다. 대학원생들의 토론 결과 미진한 곳은 담당교수가 보충 설명하고 발전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한다.

KL716 한국고전소설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3학점

신라, 고려, 조선에 걸쳐 형성되었던 각종 소설을 분석, 그 특질을 탐구하고 통시적인 변천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소설의 통시적인 변화·발전을 통해 소설 전반의 특성과 구조, 구성의 주요 요소들을 연구하고 인물간의 갈등 양상과 갈등이 주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한국소설의 진정한 의의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한국소설의 통시적 변화를 연구․분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소설의 시원에서부터 소설의 발생과 발달에 영향을 끼친 주변 갈래와의 관계를 폭 넓게 연구하여 소설의 진정한 모습과 가치를 연구하고, 소설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현대 소설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전개되는지에 대한 논의도 강의의 주요 내용으로 삼는다. 본 강좌는 수강생들의 연구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담당교수는 강의의 목적과 주변 갈래에 대한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해주고, 소설의 발생·발달 요인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대표 작품을 선정, 수강생들이 연구하고 그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KL717 한국전통극연구 (Studies in Traditional Korean Drama)3학점

한국의 전통극(가면극, 인형극)의 발생과 원리를 고찰하고,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극 문화의 역사적 전개와 대표적인 작품을 통해 한국 전통극의 특질을 연구한다. 아울러 한국의 전통극이 연극으로서, 무용으로서, 문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종합예술로 평가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전통극의 새로운 위상을 정립한다. 가면극과 인형극의 역사와 원리라는 전반적인 특질을 전제로 대표적인 작품―봉산탈춤, 양주산대, 오광대 등―을 문학적 견지에서 분석해 내고, 각 작품의 유기적 연관성과 고통 유형을 통한 전통극의 연구를 통해 한 시대의 사회사와 문화사 전체를 포괄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이론화해 본다. 전통극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수가 전반적인 특징과 참고문헌을 소개하고, 수강생들은 이를 기초로 세부 내용 및 작품 분석을 발표한다. 발표에 대한 토론과정을 통해 전통극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함께 모색해 본다.

KL720 고전수필문학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Essay)3학점

한국 수필의 시원에서부터 시기별로 나타났던 작품을 살펴보고 시대별 작품의 특성과 동시에 수필의 범주에 드는 글의 유형을 살펴 한국 수필의 전반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강좌를 통해 한국 수필의 유형을 고찰하고 작품에 나타난 선조들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과 교훈, 그리고 표현 기법 분석을 통해 수필 문학의 우수성을 인식토록 하는 데 목표를 둔다. 한국 문학 유산 가운데 가장 방대한 양을 가졌으면서도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수필문학을 연구하는 특성 때문에 우선 수필문학의 범주를 설정하고 갈래의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서양의 Essay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 수필문학의 특성을 뚜렷이 하고, 시대별 작품양상과 특성을 살피는 것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한다. 본 강좌는 연구 대상의 특성상 자료 수집과 기존연구 이론들에 대한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것들이 이루어지면 수강생들의 연구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특히 서양의 Essay와 비교하여 비판적인 안목으로 한국수필의 범주와 특성을 도출할 수 있도록 담당교수의 적절한 지도가 강의운영의 핵심 요소가 된다. 따라서 담당교수는 수강생들의 연구와 발표가 기존 연구의 답습이 되지 않도록 지도한다.

KL721 고전작품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Literary Works)3학점

시가나 산문, 유형에 관계없이 특정한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특성 및 시대적 의의를 집중적으로 분석·연구하는 데 있다. 따라서 동시대의 시대 상황과 문학 정신을 시가와 산문에서 각각 어떻게 작품화하고 있는가와 유형별 표현 특성을 살피고 이를 통해 한국 고전 작품의 우수성과 시대적 맥락을 읽어내는 것을 본 강좌의 목표로 삼는다. 성격상 갈래나 유형에 관계없이 시대별 작품 속에 형상화된 시대의식과 문학 정신을 파악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 된다. 따라서 역사와 문학, 시대 정신과 문학 의식과의 관계가 주된 내용이 되고, 아울러 동시대의 상황이 시나 소설에 각기 어떠한 형태와 미의식으로 도출되는가 하는 것을 본 강좌의 내용으로 삼는다. 본 강좌의 특성상 수강생들의 연구 작품을 선정하고, 수강생들의 연구와 발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첫 시간에 담당교수가 한국 고전문학 작품의 전반을 강의하고 시대구분을 고려하여 대표 작품을 선정하도록 하고, 수강생들이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부족한 점은 담당교수가 보충 설명하고 계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한다.

KL722 고전작가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Author)3학점

한국 고전 문학사를 근간으로 하여 갈래에 상관없이 대표적인 고전 문학 작가를 선별하고, 고전 작가의 계보와 성장 과정 및 시대적 배경을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작가들의 개별적인 작품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체계를 세울 수 있도록 하고, 그들의 문학적 특성 내지 문학론에까지 학습을 심화시킬 수 있다. 상고시대로부터 출발하여 삼국,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는 동안의 문화적, 시대적 배경을 배경 지식으로 습득한 후, 기존의 연구 성과 및 방법론 등을 검토하고 선정된 작가에 대한 정보 및 작품들을 수집하여 개인적으로 연구·발표한다. 교수의 강의 및 수강생들의 연구 발표와 토의로 진행하되, 수업 중 노정된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도록 한다. 또한 교수는 수강생들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가운데 미진한 부분을 해결해 준다.

KL723 한문학특강 (Topic in the Korean-Chinese Literature)3학점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 양식인 한시, 한문 산문, 한문 소설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먼저 한시에 대한 형식과 내용의 특성 및 작가, 작품을 탐구함으로써 한시 문학의 가치를 알게 한다. 또한 한국 한시문학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한시 작품 분석을 통한 고전 비평을 전문적으로 연구한다. 다음으로, 한문 산문문학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과 이를 분석하여 문헌 비평과 작품 비평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그리고 고전소설사에 있어 한문으로 된 소설들을 선별하여 한문소설의 계보를 정리하고, 한문소설사에서 가치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 국문소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문소설의 형식․내용적 특성을 밝힌다.

KL724 현대작가특수연구I (Special studies in Modern Korean Writer I)3학점

현대작가 특수연구Ⅰ은 개화기 작가에서 해방기 이전 작가 연구를 강의의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현대작가들은 남다른 역사 사회적 맥락 아래서 작가로 성장했다. 그들의 개인사, 역사 사회적, 환경적, 정치적 이념 등의 규명과 함께 텍스트 중심의 작가 연구 방법도 검토한다. 강의 운영은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관심 있는 시대와 작가를 매학기 초에 학습자 중심으로 선정한다. 개인연구와 발표, 토론으로 수업이 진행 될 것이다.

KL725 현대소설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3학점

1910년대 이후의 한국소설의 역사성과 시학성을 규명함이 이 강좌의 일차적 목적이다. 소설연구는 구조주의 이후, 문학연구의 중심영역이 되었다. 서사학적 시각에서 1910년대 이후의 우리 소설을 새롭게 읽고 평가하는 입장에서 사건과 인물, 사건과 시간, 인물과 초점화, 서사소통과 담론 등이 논의될 것이다. 강의 운영은 교수의 강의 학습자의 연구발표, 교수까지 참여하는 토론수업 등으로 진행될 것이다.

KL726 현대시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ry)3학점

이 과목은 개화기 이후 1950년대까지 현대시의 변천과정과 다양한 정신사적 수용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즉, 1910년대의 신문학 개척시대, 20년대의 근대문학의 자각시대, 30년대의 본격적 예술로서의 시문학 융성시기, 40년대의 암흑과 침묵의 진공상태, 50년대의 민족적 불행의 체험시기로 나눌 수 있다. 특히 50년대는 현실 고발적인 전후문학 경향 이외에도 형식면에서 시인들이 자신들의 정신세계와 언어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경주했다. 이 시기는 후반기 동인의 모더니즘 경향이 나타나지만, 주로 전쟁 후의 허무감이나 인간상실이라는 고독감이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강의 내용은 이런 시대적 상황이 작품 속에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며, 시적 변모 양상의 변별성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KL729 현대문학비평연구 (Studies in Korean Modern Literary Criticism)3학점

오늘의 ‘문학과학’을 성립시킨 배경인 형식주의, 언어중심주의, 구조주의, 후기구조주의 등을 바르게 이해함을 강의의 우선적 목표로 삼는다. 이제 비평은 감상자의 인상적 평가만으로 수행될 수 없게 되었다. 러시아 형식주의, 체코 구조주의, 프랑스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 해체주의, 포스트 모더니즘 등의 입장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문학비평의 흐름을 바르게 이해한다. 강의 방법은 교수의 강의와 학습자의 연구발표, 세미나 등으로 진행된다.

KL730 문예사조연구 (Studies in Modern Literary Movement)3학점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예사조가 전개되어 왔다. 우리 문학이 전개되어 온 사조적 흐름을 바르게 이해함을 목표로 한다. 계몽주의, 상징주의, 낭만주의, 사회주의, 구조주의 등이 검토될 것이고, 모방론과 표현론적 시각에서 제사조가 다시 정리될 것이며 모더니즘과 후기모더니즘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특히 텍스트상의 외현적 현실에서 우리 문학의 정신사를 읽고자 노력할 것이다. 강의의 운영은 교수의 강의와 학습자의 발표로 진행된다.

KL731 현대문학자료연구 (Studies in Modern Literature Materials)3학점

이 과목은 현대문학에 관계되는 각종 문헌·자료를 총망라하여 분석·정리함으로써 문학연구의 기초작업을 통하여 현대문학의 실상을 파악하고 문학사를 정리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다. 특히 구한말 이후 개화기에서부터 해방 전후까지 각종 잡지와 신문, 문예지와 동인지 등의 자료 발굴과 확인 작업은 문학사 정리와 문인의 전기적·역사적 실증주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작품 발굴과 자료 정리는 종합적인 작가 및 작품 연구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의 확인 작업에는 원작의 검증 과정이나 언어학적 분석 적용이 필수적이다.

KL732 현대한국시가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ry)3학점

시란 고도의 상상력과 직관을 통해 여러 현상들과 그 본질을 파악하여 압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드러낸다. 시는 일상적인 언어 사용법을 거부하는 동시에 시인의 독창적인 언어 용법을 구사한다. 따라서 시는 본질적으로 상상력에 의존하여 인간의 아름답고 깊은 혼을 일깨워주며 잊었던 순수한 삶에 대한 향수감을 환기시킨다. 강의 내용은 이런 시의 본질이 어떤 변화 발전을 거쳤는가를 설명한 다음, 시의 원리 및 감상 방법을 살핀다. 구체적으로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배경으로서 신체시부터 20년대 시단 형성과 그 전개, 30년대의 다양한 사적 조류, 40년대의 저항시와 청록파시, 해방과 혼란기의 시 경향, 50년대 후반과 60년대 시단에 나타나는 각종 사조와 시운동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언급할 것이다.

KL733 현대한국시인론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s)3학점

이 과목은 개화기 이후 50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문학사에 등장한 대표적인 시인들을 대상으로 독립된 시인론의 성격과 시사 정리라는 측면에서 다룰 것이다. 우선 대상은 현실 인식과 사회 의식을 포괄하는 의미에서 역사의식이 투철하거나, 자유·평등정신을 바탕으로 한 생명의식과 인간 존중사상을 중심으로, 또한 상상력과 언어 예술이라는 인식 하에서 미의식을 구현한 시인들을 택했다. 이처럼 우리 현대시사의 흐름을 주도해 온 시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 가운데 시인의 독특한 개성과 상상력을 분석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유파나 경향에 속하는 시인들을 총망라하여 이 땅의 현대시에 대한 우리의 감상의 촉을 넓히는데 목적을 둔다.

KL734 현대문학특강 (Topics in Modem Literature)3학점

본 과목은 예술성 및 사상성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문학사에 기록될 만한 작품이나 문예운동, 사조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학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즉 문학이론과 문학비평의 다양한 방법론을 우리 문학 연구에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지, 여러 시각과 능동적인 토론으로 종합 정리할 것이다. 아울러 작품의 문학서적 위치와 평가, 문제의식에 대한 문학성의 규명 및 분석을 병행한다. 따라서 작품 속에 나타나는 작가의 삶과 예술 세계를 통해 연구자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투영시켜 재정립하고 풍부한 인생을 경험하는 데 목적이 있다.

KL735 현대문학논문연구 (Paper Seminar Modern Literature)3학점

연구자는 각자 조사·연구·실습한 내용의 결과를 정리하고 규명하는 일이 중요하다. 따라서 그 과제를 풀기 위해 얻은 사실이나 의견은 되도록 명백하게, 효과적으로 그 의의가 부여되도록 조직 기술되어야 한다. 논문 작성시 연구자는 어떤 논제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그런 사실들 간의 연관 관계를 규명해 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사실들을 분류하고, 한계를 짓고, 비교하고 대비시키는 논증 방법도 알아야 한다. 또한 각종 분석·증명의 원칙, 귀납법과 연역법의 원리도 체득해야 한다. 따라서 강의 내용은 논문의 양식과 체제, 주제 선정, 자료 수집, 논증 방법, 다양한 방법론 등을 적용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실습과정을 병행한다.

KL736 현대작가특수연구Ⅱ (Special Studies in Modern Korean Writer Ⅱ)3학점

현대 작가 특수 연구 I에 이어지는 강좌로, 해방 이후의 작가연구를 목표로 한다. 따라서 해방 이후 작가들의 개인사, 그들의 역사 사회적 환경, 미학과 심리, 정치적 이념 등을 규명함과 아울러 텍스트 중심의 작가 연구방법도 탐색한다. 또한, 독자의 수용이 텍스트 생성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할 것이다. 강의 운영은 학습자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다. 작가와 시기 선정은 학생 자신에 의하여 선정된다. 선택한 시기와 작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발표, 토론한다.

KL737 현대문학연구방법론 (Methods of Research in Modern Korean Literature)3학점

20C 초부터 서구의 문학 연구는 점차 이론화되어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자리를 굳히고 있다. 현대 문학이론은 다양한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듯 하지만, 그 모든 양상들의 근저에 흐르는 조류는 구조주의, 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학이라 할 수 있다. 이 세 분야의 흐름은 문학이론 뿐만 아니라 현대의 학문 전반과 정신계에 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이전의 전통적인 문학연구에서 탈피한 20C비평은 인접 학문의 발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론적 기반을 다지고 있다. 즉 철학(현상학·해석학), 심리학(정신분석학), 사회학, 언어학, 인류학, 구조주의 및 기호학, 마르크스 이론, 수용미학 등 다양한 학문의 전개는 현대 문학이론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과목은 이런 다양한 문학 연구 방법론을 이해하여 문학 작품을 분석·비평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는 데 목적을 둔다.

KL744 고전문학세미나 (Seminar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3학점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 있어 문제된 점을 고루 지적하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 각 갈래상의 문제와 갈래별로 쟁점이 되고 있는 작품과 작자에 대해 이러한 연구 관점을 가지고 연구하고 그에 따라 수강생 나름의 시각과 방법론을 가지고 작품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강의의 목표로 삼는다. 주요 내용은 한국 고전문학에 있어서 논의의 쟁점이 되고 있는 갈래나 작자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이다. 따라서 갈래에 대한 논의와 이론 연구를 하나의 내용으로 삼으면서 갈래의 개념 규정을 명확히 하고 그 가운데 작품을 분석하고 작자를 살펴 나름의 이론과 분석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강의 내용의 초점이 된다. 본 강좌는 대학원 개설 과목이므로 수강생들의 비판적인 연구 발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첫 시간에 담당교수가 한국 고전문학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갈래와 작자·작품을 소개하고 강의의 목적·성격·연구 및 발표 내용과 방향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따라 수강생들이 비판적인 안목에서 연구물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미진한 곳은 담당교수가 보충 설명하고 계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한다.

KL745 한중비교문학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3학점

한국문학에 미친 중국문학의 영향관계를 비교문학적 견지에서 연구한다. 한국의 고전문학은 중국문학과 연관이 밀접하여 우리 민족문학의 전통·순수성을 모색하자면 우선 중국문학과의 관계 규명이 필요하다. 이는 우리의 고전을 정당히 이해하고 평가하며, 문학사 또는 소설사를 재정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비교문학에 대한 개념과 방법론을 학습하고, 고대 한국인들과 중국인들의 소설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작품(전등신화, 삼국지연의 등)을 선정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의 독자층에 침투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주제, 구성, 문체, 사건 등을 비교·분석한다. 실질적인 작품 분석에 앞서 교수는 개념과 여러 가지 방법론에 대한 강의를 하고, 수강생들은 작품분석을 위한 다양한 이론을 학습한 뒤 선정된 작품을 세밀히 분석하고 비교·검토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한국 언어·문화 전공

KL625 한국어교육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3학점

한국어교육의 목적, 의의, 대상, 방법, 내용, 역사, 현황, 전망 등을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개념, 한국어 교사론, 학습자론, 교재론, 교육지도법, 수업론, 한국어 평가론 등 을 다룬다. 특히 국어학이나 국어교육학과는 다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이 지닌 특성 및 제반 이론들을 교과 내용학이나 교과 교육학적 토대 위에 정립한다.

KL626 한국어음운론 (Korean Phonology)3학점

한국어 말하기와 읽기교육에 필요한 발음을 음성학과 음운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즉 국어음운론이란 무엇인가, 음성의 분류, 모음의 분류, 자음의 분류, 음소의 정의, 음소의 설정, 음소의 체계, 음절에 대한 여러 학설, 음절의 구조 등 한국어 음운론의 전반에 대해 다룬다.

KL627 외국어습득론 (Acquring Foreign Languages)3학점

외국어습득에 관한 주요 현안들을 다룬다. 즉 모국어의 역할과 외국어 습득 이론, 학습자 개인차와 외국어 습득, 학습자 전략 등 일반 외국어 습득 이론(SLA 이론) 등을 다룸으로써 외국어로써의 한국어 습득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한다.

KL628 한국어어문규범 (Korean Composition structure)3학점

국어 어문 규범의 개념과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한다. 즉 표준어 사정 원칙, 한글 맞춤법, 외래어 표기법, 표준 발음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등을 이론과 더불어 한국어 교사로서의 한국어 어문 규범을 학습한다. 아울러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언어, 문자의 동질성 회복 차원에서의 북한의 어문 규범도 같이 다루어 통일시대를 준비할 어문정책의 단초를 제시한다.

KL629 한국어문법론 (Korean Grammar)3학점

외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문법을 어떻게 제시하고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연구 방법론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어의 특성과 전통문법에서부터 생성문법에 이르기까지의 문법학의 형성 과정을 다룬다. 아울러 단어, 구 , 문장에 이르는 문법 단위별 중요 문법 지식은 물론 시제, 피동과 사동, 대우법 등 다양한 문법 범주 문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KL630 언어교수이론 (Methodology in Teaching Language)3학점

외국어 교수, 학습을 위한 다양한 이론을 접근방법, 교수설계, 교수절차로 나누어 다루어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준거를 마련한다. 즉 전반부에는 구화식 교수법, 상황 중심 교육법, 청화식 교수법, 전신 반응 교수법, 침묵식 교수법, 협동 학습법, 암시 교수법, 어휘 중심 접근 방법, 능력 중심 접근 방법을 분석한다. 아울러 후반부에는 최근의 언어교수이론인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 협력 학습 접근 방법, 내용 중심 접근 방법, 과업 중심 접근 방법 등을 다룬다.

KL631 한국어표현교육론 (Teaching Korean Expressions)3학점

한국어로 말하고 쓰는 능력을 효과적으로 기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통해 ‘표현’하는 언어활동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 즉 정확성과 유창성 또는 숙달도를 높이기 위한 교사의 역할, 지도 방법, 오류 처리, 교실 운영 등 실제적인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를 다룬다.

KL632 한국어이해교육론 (Understanding Korean Education)3학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독해 과정이나 음성언어 듣기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는 전략을 다룬다. 특히 수용적 기능을 지닌 ‘듣기와 읽기’라는 점에서 벗어나 듣기의 경우 ‘청자’는 능동적으로 대화에, 읽기의 경우 ‘독자’는 능동적으로 ‘글의 이해’에 참가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이로써 듣기, 읽기에 대한 심리언어학과 인지과학, 언어의 정보처리과정이라든지 스키마이론 등을 배우고, 언어 교수법에 따라 읽기와 듣기 수업의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KL633 한국어발음교육론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3학점

한국어음운론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발음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들 학습자의 오류 교정 방법을 타진한다. 또한 한국어 개별 음운의 정확한 발음과 수용, 음운규칙의 이해를 중심으로 표준발음법과 더불어 실용성과 실제성에 근거한 발음 교육의 원리를 분석한다.

KL634 한국어어휘교육론 (Korean Lexicology)3학점

한국어의 어휘를 의미론과 어휘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한국어의 특수한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즉 전자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어휘 체계(동의어, 동음어, 반의어, 비어, 속어, 유행어..)의 기초 이론을 다루며, 후자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법(게임 및 구어텍스트 활용방법, 낱말카드, 영상자료 이용, 인지적 방법..)을 다루는 등 어휘 활용법을 숙지하게 한다.

KL635 한국어교재론 (Texts for Teaching Korean)3학점

기존 교재의 비평 분석에서부터 학습자의 조건(학습자 학습 목적, 국적)과 교육 환경에 맞는 교재를 개발하고 주어진 교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문제를 다룬다. 아울러 일반 출판 교재에서부터 WEb 기반 한국어 교재의 특징,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의 개발과 활용방안 등도 포괄적으로 분석한다.

KL636 한국의전통문화 (Korean Traditional Culture)3학점

한국이 가꾸어 온 전통 문화의 원형과 속성을 신화, 사상, 무속, 민속 등을 통해 재조명하여 한국어 교육자로서의 기초 소양을 닦는 데 일익을 담당한다. 또한 놀이문화, 음식문화, 의복문화, 가옥문화 등 주제별 전통문화의 제 양상을 분석한다. 또한 국제 예절과 한국 예절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 문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의 기초를 제공한다.

KL637 한국민속학 (Korean Traditional Studies)3학점

민속학은 민중의 정신사를 가능한 한 모든 면에서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민족문화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유리하다. 본 교과목은 민속학의 연구방법, 민속사회(가족과 촌락, 의식주, 세시풍속), 민속신앙, 민속문학(민요, 무가, 판소리, 속담과 수수께끼, 금기어, 설화), 민속극, 민속놀이, 민속사상 등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민속학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KL638 한국현대문화비평 (Critical studies of Modern Korea)3학점

삶의 보편적 양식이자 총체로서의 문화에 대한 다양한 비평은 최근 매우 활발하고 왕성하다. 일반 구조주의 기호학과 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 이론과 여성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 등의 이론을 토대로 문학 읽기와 문화 제 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다룬다. 사회 현상, 매체,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의식주 관련 생활 문화 등이 중요 텍스트가 된다.

KL640 대중문화세미나 (Seminar in Korean Mass culture)3학점

이 강좌는 대중문학, 영화, TV, 만화, 인터넷, 게임 등 현대의 대중문화를 대상으로 그 양상과 성격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 개설된다. 먼저 ‘대중’과 ‘문화’라는 개념을 문화 연구(cultural study)의 관점에서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구에서의 대중문화 연구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를 해 본다. 그리고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와 그 구체적 양상을 장르별로 점검한 뒤, 한국 대중문화의 일반적 성격을 도출해낸다. 이러한 연구와 토론을 통해 대중문화를 대하는 시각을 정립하고 나아가 보다 바람직한 대중문화의 발전 방향을 자유롭게 모색해 보는 것이 이 강좌의 목표가 된다.

KL644 한국어어휘론 (Korean Lexis)3학점

국어 어휘의 생성과 발전과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어휘론과 형태론, 어휘론과 의미론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는 과목이다. 특히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어휘를 고유어와 한자어, 외래어로 구분하여, 그 기원과 현재 표기 형태의 관련성을 탐구함으로써, 장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어휘론적 소양을 함양하는 데 목표를 둔다.

KL645 대조언어학 (Contrastive Linguistics)3학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구조가 확연히 다른 언어들을 대조하여 언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의 일반적 성격과 각 개별언어의 구체적 특징을 파악하는 과목이다. 특히 한국어와 다른 언어들과의 대조를 통해 한국어 및 외국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연구한다.

KL647 한국어한자교육론 (Teaching Korean-Sino)3학점

한국어 어휘의 80%가 한자어임을 감안할 때 한국어 어휘력 신장과 조어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한자어에 대한 이해기 필수적이다. 따라서 한국어 어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한국어의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학습하도록 지도한다.

KL648 한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3학점

한국어의 역사를 학습하는 과목으로서, 고대 한국어에서 중세 한국어를 거쳐 현대 한국어에 이르는 변천 과정을 다양한 언어 자료와 그에 대한 해석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해한다. 고구려․백제어 계열과 신라어 계열의 언어가 통합되는 과정과 이후 고려어 및 조선어에서 일어난 변천 과정을 음운론, 형태론, 문법론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KL649 언어학개론 (Introduction to Linguistics)3학점

이 과목은 언어학 전반에 걸쳐 기초적 이론을 습득하며, 특히 현대 언어학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과 결부시켜, 일반 언어학의 여러 양상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음운론, 형태론, 문법론, 의미론뿐만 아니라 언어사와 어군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를 논의함으로써, 언어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적 시각을 갖추도록 한다.

KL650 한국문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3학점

한국문학의 양식, 시대별 작자와 작품, 문학 활동 등 한국문학의 전체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다. 다양한 한국 문학의 양식적 특징을 살핀 다음 또한 작자의 세계관을 고찰하고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고전과 현대문학, 구비와 기록문학, 시가와 산문문학 등으로 나누어 우리 문학의 범위와 특질을 고찰한다.

KL651 현대한국사회 (Modern Korean Society)3학점

현대한국사회의 성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과목으로서, 한국의 현대사를 중심으로 정치와 경제, 문화 등을 개괄한다. 19세기 말 이후 한국사회가 거쳐 온 격변의 역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가 지니는 특징을 정치, 경제, 문화 등으로 나누어 이해해 본다. 이를 위해 식민지 시기의 한국 사회와 해방 이후의 한국 사회,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한국 사회 등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살핀다.



KL738 강의실습 (Practical Studies) 3학점3학점

강의 실습은 교실에서 배운 한국어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적용한다. 에비 한국어강사로서 학습지도안 작성, 교수법 적용, 교실 운영, 학생 지도 등을 기혹 실행시킨다. 아울러 한국어 교사로서 실제 수업에서의 발음, 어휘지도, 표준어와 정서법, 교구 활용법 등과 함께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의 지도법 등의 다양한 이론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비교 분석하고 강의에 대한 평가도 곁들인다.

KL739 한국문학의이해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3학점3학점

한국 문학의 장르별(향가, 고려가요, 가사, 시조, 소설, 판소리, 현대문학) 개괄적 이해에서부터 한국 문학의 사상 및 한국문학의 연구를 다룬다. 아울러 한국문학을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및 방법론을 탐색하고 적용한다. 이로써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을 모색한다.

KL740 사회언어학 (Sociolinguistics)3학점

언어가 사회에서 그 본래적 기능들을 발휘하기 위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에 관심을 두고, 특정한 상황에서 쓰이는 언어 요소들과, 그 상황의 중요한 요소들과, 참여자간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학적 특징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발음, 문법 요소, 어휘 선택에 미치는 사회의 영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나이·성별·교육정도·직업·인종 및 또래 집단의 귀속의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들을 중심으로 언어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한다.

KL741 한국어문법교육론 (Teaching Korean Grammar)3학점

전통 문법을 바탕으로 구조주의 문법 및 변형생성 문법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어 문법을 어떻게 외국인들에게 가르칠 것인가의 방법론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문법의 정확한 지식과 함께, 나아가 화용론 및 의미론과의 연관성을 잘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들에게 맞는 한국어문법의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언어 교육의 중요한 부면이기도 하다.

KL742 한국문화교육론 (Teaching Korean Culture)3학점

한국 문화를 외국인들에게 알리고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과목이다. 전통 문화에서 현대 문화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의 특질과 그에 따른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언어 교육의 한 축이 문화 교육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특히 고급 한국어 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과목이다.

KL743 한국의현대문화 (Korean Modern Culture)3학점

개화기 이후 형성되기 시작한 한국의 현대 문화는 이제 한국 차원을 넘어 아시아 또는 세계의 문화적 재원으로 그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이 과목은 드라마, 영화 등 한국의 대중 문화를 근간으로, 한국인의 일상 생활에 구현된 현대 문화의 각종 양상을 탐구함으로써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넓고도 깊은 시각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현대 문화의 이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적절히 하기 위해 필요한 문화적 소양을 키워줄 것이다.

KL746 한국고전산문과문화콘텐츠연구 (Studies of KOR. Classical Prose & Cultural Contents)3학점

원전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면 정선된 현대어역판 한국고전산문 작품을 대상으로 해서 이를 읽고, 작품의 이면에 감추어진 구조를 분석하여 얻어진 의미를 바탕으로 해서 공연예술을 위한 시놉시스를 비롯한 대본을 작성하는 연습을 한다. 나아가 기존의 공연예술 시놉시스나 대본을 구해서 원작품과 함께 읽으면서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훈련도 함께 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제작하는 능력을 기른다.

KL747 한국고전자료분석방법론 (Analyzing Korean Classical Text)3학점

다양한 문화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자료 분석이 일차적인 작업이므로 이를 위해서 다양한 원천 자료를 수집하는 요령과 방법 및 독해 능력을 터득하고, 이를 대상으로 해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연구자 스스로 자료를 분석하는 능력이 배양되도록 지도한다.

KL748 한국고전시가와문화콘텐츠연구 (Studies of KOR. Classical Poetry & Cultural Contents)3학점

원전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면 정선된 현대어역판 한국고전시가 작품을 대상으로 해서 이를 읽고, 작품의 이면에 감추어진 구조를 분석하여 얻어진 의미를 바탕으로 해서 공연예술을 위한 시놉시스를 비롯한 대본을 작성하는 연습을 한다. 나아가 기존의 공연예술 시놉시스나 대본을 구해서 원작품과 함께 읽으면서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훈련도 함께 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제작하는 능력을 기른다.

KL749 한국어의미론 (Semantics in Korean Language)3학점

한국어에서의 의미론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의미에 대한 탐구로서 의미론은 어휘나 어구, 기호, 상징 따위의 지시가 뜻하는 바를 연구한다. 한국어 의미론은 어휘 및 어구 등의 표현이 한국어에서 어떻게 조직되고 나타나는지 탐구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어에서의 다양한 의미 용례 등을 학습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언어 문화의 특징에 대해 새롭게 살펴볼 수 있다.

KL750 한국어화용론 (Pragmatics in Korean Language)3학점

화용론은 언어학과 기호학의 하위 분야로서 발화의 맥락이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탐구하는 학문이다. 여기에는 주어진 발화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언어를 있게 하는 언어의 사회적 맥락과 사회심리학적인 요인을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에서는 한국어에서 특징적인 발화 맥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발화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 양상을 탐구할 것이다.

KL751 한국어교육과정론 (Study on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3학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탐구하는 과목이다. 먼저 교육과정의 개념을 학습하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라는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전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해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세부 분야들을 어떻게 구성하고, 그 세부 분야들을 다시 교육하는 과정을 개발하는 시각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KL752 응용언어학 (Applied linguistics)3학점

응용언어학은 실용적인 문제에 언어학을 적용하는 학문이다. 이 과목은 이중언어 및 다언어사용,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대화분석, 대조언어학, 기호언어학, 언어능력 평가, 문자언어능력, 담론분석, 언어교수법, 2차언어 습득, 사전 편집, 언어 정책, 상호언어학, 문제촌, 화용론, 변론 및 번역 등에 대한 기본적 이론을 학습하며, 다양한 언어의 응용 분야를 대하는 기본적 시각을 얻을 수 있다.

KL753 한국어평가론 (Korean Language Assessment)3학점

한국어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학습하는 과목이다. 언어능력평가는 응용언어학의 하위 분야로서 모국어 및 2차 또는 3차 언어에 대한 능력이 어떠한지 학교나 대학의 교육 맥락에 따라 평가한다. 이러한 언어능력평가는 취업, 이민, 시민권 획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므로 적절한 평가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언어능력평가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함께 이러한 개별 능력을 통합하여 발휘하는 것을 평가한다.

KL754 한국어번역론 (Study on the translation related to Korean Language)3학점

외국어를 한국어로 또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구어 발화를 번역하는 것은 물론, 문어로 된 텍스트를 번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어와 외국어의 적절한 이해와 구사능력뿐만 아니라, 한국 및 번역 대상 국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역 수준의 번역을 넘어 자연스러운 번역을 위해서는 텍스트에 표현된 언어와 문화의 맥락에 대한 지식과 감각을 익힌다.

논문연구

석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Ⅰ)0학점
석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Ⅱ)0학점
박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Ⅰ)0학점
박사논문연구Ⅱ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Ⅱ)0학점
박사논문연구Ⅲ (Research for the Doctoral DegreeⅢ)0학점

TOP